본 메일은 제주대학교 공동자원과 지속가능사회 연구센터(이하 연구센터)가 발행하는 제8호 뉴스레터입니다. 연구센터는 2011년 9월부터 2021년 8월까지 10년 간 이루어진 한국연구재단 사회과학연구(SSK) 지원사업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하고 2021년 9월부터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을 시작했습니다. 연구센터는 인문사회연구소 지원사업 하에 진행되는 활동을 홈페이지와 페이스북을 통해 공지하고 있으며, 활동소식을 모은 뉴스레터를 반 년 간으로 발행하고 있습니다. 본 뉴스레터를 통해 연구센터에서 2022년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이루어진 주요 활동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뉴스레터를 통해 연구센터 정창원 부센터장의 인터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최현 센터장과 함께 2011년부터 연구센터 공동자원 연구를 견인해온 정창원 부센터장의 인터뷰를 통해서 공동자원에 대한 역사학적 연구의 의미, 중국고대 수리사업 및 ‘신’(信)관념이 공동자원 연구와 관련하여 가지는 의미, 동아시아 공동자원 연구에서 연구센터가 담당한 역할 및 국제적인 공동자원 연구교류의 중요성 그리고 공동자원 연구에서 향약 연구가 가지는 중요성과 제주사회·한국사회에 대한 연구센터의 기여 등 연구센터 공동자원 연구의 과거와 현재를 성찰하고 미래를 조망하는 논의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센터는 공동자원의 장기지속성을 디자인 원리 8에 입각하여 모색한 정책보고서 <제주도 공동목장 활용과 초지 보호를 위한 다중심적 협력방안 연구> 소책자를 출판했습니다. 공동목장 활용 및 초지 보호를 위한 다중심적 로컬 거버넌스의 토대를 놓기 위해 작성된 본 보고서는 자치적 권한을 가지면서 자율적으로 제정된 규칙들 하에 작동하며, 여러 의사결정 중심을 가지는 사회공간적 체계인 '다중심성'(polycentricity)을 통해 로컬 거번넌스의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정책보고서 소책자를 pdf 파일 형태로도 내려받으실 수 있습니다.
연구센터는 공동자원 연구의 성과를 제주사회에 소개하고자 제주시청 공보지 <열린제주시>에 제주 공동자원을 주제로 칼럼을 연재하고 있습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김자경 전임연구원의 칼럼 “공동자원으로서의 먹거리 그리고 먹거리 돌봄”(4월호), 김태연 전 연구조교의 칼럼 “제주도 ‘문화’에서 ‘문화’의 섬 제주로”(5월호), 현우식 행정조교의 칼럼 “협력의 기술, 원칙에 의한 협력은 가능한가”(6월호), 신소연 전 연구조교의 칼럼 “공동자원으로서 마을회관이 가지는 의미”(7월호), 이재섭 전임연구원의 칼럼 “공동체, 공동자원 그리고 시민배당”(8월)의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연구센터는 제주지역언론 '제주의소리', 제주시민사회단체 '양용찬열사추모사업회', 제주시민정치연대 '제주가치'와 함께 ‘탐나는가치맵핑’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제주시 애월읍 고성리 공동목장을 포함한 마을공동목장에 대한 현지조사를 수행했을 뿐 아니라 2022 커먼즈 네트워크 워크숍을 공동주최했습니다. 연구센터는 특히 격주로 마을공동목장 현지조사를 진행하면서 공동목장 구성원에 대한 인터뷰를 실시했습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인터뷰 녹취록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녹취록은 제주의 중요한 공동자원인 공동목장에 대한 향후 더 심화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입니다.
이외에도 연구센터 연구원은 <사회적 가치 이슈 브리프> 4권에 칼럼 “공동자원을 활용한 주민자치와 균형발전 방안: 제주의 사례를 중심으로”를 게재하고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공동체문화연구사업단이 주최한 학술대회 ‘공동체문화로의 전회: 가능한 이론과 영역들’에서 발표하는 등 여러 활동을 수행했습니다. 뉴스레터를 통해 연구센터 연구원의 여러 활동에 대한 소식과 함께 제주사회에 대한 폭넓은 이해에 입각하여 공동자원을 연구하는 전문연구인력의 성장을 위한 연구센터 세미나팀의 소식을 접하실 수 있습니다.
아울러 뉴스레터를 통해 연구센터가 서울대 아시아도시사회센터, 한국법제연구원, 건축공간연구원, 국토연구원과 함께 9월 28일(수) – 30일(금)일 제주에서 주최하는 2022 공동자원 학술대회에 대한 소개를 접하실 수 있습니다. 본 학술대회는 공동자원 연구의 현 단계에서 요구되는 공동자원 제도화의 토대를 놓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서 향후 연구센터는 본 학술대회의 성과를 정리하여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공동자원을 중심으로 제주사회, 나아가 한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모색하고 있는 연구센터의 연구실천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